재단소식

언론보도
[TK 기업, 사회공헌 새바람] (2)화성산업 2023-02-26
교육 기부·자원 봉사·공익 투자 "지역 발전 아름다운 동행"
지방대 지원 매년 최대 2억…시교육청 손잡고 교육 사업
임직원 자발적 봉사단 구성…6년 동안 모금 12억원 전달


화성산업㈜(대표이사 회장 이종원)은 올해 창업 65주년을 맞았다. '인간의 가치 존중, 사회의 가치 창조, 자연의 가치 추구'라는 기업 이념에 발맞춰 지역사회의 동반자를 자임하며 사회공헌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사회적 지원, 상생, 공익투자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화성장학문화재단 통해 교육 기부
사회적 지원 부문을 주도하는 곳은 화성장학문화재단(이사장 이인중 명예회장). '기업 이윤의 사회 환원'을 실천하기 위해 창업주 고(故) 이윤석 명예회장이 개인 재산을 출연해 1993년 설립한 공익재단이다. 교육기부 활동은 특히 눈에 띈다. 지역대학에 비정기적으로 대학발전기금을 기부하고 지역 교수, 연구원들의 기초 학술연구활동을 지원한다. 지역 대학생 중 선발된 인원에게 졸업 때까지 매 학기 장학금도 지급한다. 이 사업에만 매년 약 1억5천만원~2억원을 들이고 있다. 이와 별개로 1995년 이후 지난해까지 경찰관 자녀들 중 선발,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그동안 수혜를 받은 경찰관 자녀가 약 300명에 이른다.
.
··고 인재 육성을 위해 대구시교육청과 손을 잡고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악기 기부, 교육기자재 기부 등 일선 교육 현장을 직접 지원해왔다. 특히 2016~2018년 인문도서 사업에 매년 5천만원, 2019~2021년 특성화고 학생을 위한 영어 교육 프로그램 사업에 매년 5천만원을 기탁했다.아름다운 자연환경을 후대에 물려주기 위한 일에도 참여하고 있다. 매일신문과 함께 '늘푸름환경대상'을 제정, 공동 주최 중인데 올해로 29회째를 맞았다. 또 지역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지역문화예술계와 활발히 교류하며 대구오페라하우스, 대구콘서트하우스, 대구뮤지컬페스티발(DIMF), 해외영화제, 서예대전 등 다양한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업을 후원해왔다.
화성산업의 화성장학문화재단이 후원하는 '2022 DIMF 뮤지컬스타' 프로그램. 화성산업 제공

◆화성자원봉사단 통한 자발적 봉사 활발

사회복지사업은 '섬김과 나눔'의 문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화성산업과 화성장학문화재단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영역. 사회복지시설 후원, 연탄 배달, 사랑의 무료급식 활동, 코로나19 구호활동 등 취약계층과 소외계층의 삶을 보살피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대한적십자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공공복지기관의 성금 모금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특히 대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주관하는 '희망 나눔 캠페인' 2017 1억원, 2018 1억원, 2019 1억원, 2020 2억원, 2021 2억원, 2022 2억원을 기탁하는 등 공공복지기관 성금으로만 최근 6년 동안 약 12억원을 전달했다.이런 문화는 자연스럽게 임직원의 자발적 참여로 이어졌다. '화성자원봉사단' 2005년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 매월 1차례 이상 사랑의 집수리, 장애시설·고아원·양로원 등 복지시설 정비, 홀몸노인 무료급식, 재난지역 구호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코로나19 발발 직전인 2019년에는 전체 임직원의 73%가 한 차례 이상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임직원 뿐 아니라 임직원 가족, 화성 장학생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군 제50사단 장병, 미군 장병들까지 함께 하기도 했다.

 ◆상생 협력과 공익 투자로 동반 성장 강조

화성산업이 강조하는 하나가 상생. 사업을 영위할 협력업체와의 상생,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화성산업 설명이다. 이런 생각을 실천하기 위해 2018 20억원, 2020 5억원, 2021 5억원 모두 30 원의 ·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을 출연했다해당 기금은 200 개의 중소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동반 성장 프로그램' 사용되고 있다..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2019 5억원, 2021 5억원, 2022 2억원 모두 12억원을 '경북 농어민을 위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으로 출연했다. 기금은 농어촌 생산물 유통사업농어촌 지역 사회복지시설 지원, 재난 피해 지원, 취약농가 구매 지원, 농촌마을